항암 치료의 든든한 동반자 케모포트의 올바른 관리법 (3)
페이지 정보

케모포트의 합병증 종류
2. 혈전증(정맥 혈관에 혈전 형성)
(1) 주요 원인
카테터가 혈관 벽을 지속적으로 자극
카테터가 혈관 안에 오래 머물면서 혈관 내막을 미세하게 손상시키면 혈소판이 모여 응고반응이 시작됩니다.
혈류 저류(정체)
카테터가 혈관 직경을 좁혀서 혈류가 느려지면 혈전 생성 위험이 증가합니다.
항암제에 의한 응고촉진
일부 항암제는 혈전 생성 경향을 높입니다.
탈수
충분한 수분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혈액 점도가 상승하여 혈전 위험이 올라갑니다.
(2) 증상
팔·목 부종
통증과 혈관 압박감
드물게 폐색전증으로 진행 가능
3. 카테터 폐쇄
(1) 주요 원인
혈전 형성
카테터 내부나 끝부분에 혈전이 붙어 약물이 통과하지 못하게 막습니다.
피브린 슬리브(fibrin sleeve)
카테터 끝에 피브린(혈액 응고 단백질) 덮개가 형성되어 일종의 “마개” 역할을 합니다.
약물 침전
칼슘·포스페이트·지질제제 등이 남아 카테터 내부에 침착될 수 있습니다.
불충분한 플러싱
사용 후 생리식염수와 헤파린으로 세척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내부에 잔여물이 남아 막히게 됩니다.
(2) 증상
주입 시 압력 상승, 약물이 들어가지 않음
혈관 내 혈전 또는 약물 침전물에 의한 막힘
4. 카테터 위치 이상
(1) 주요 원인
카테터 이동
격렬한 팔 운동이나 목·어깨 스트레칭으로 카테터가 당겨져 위치가 변할 수 있습니다.
터널링 부위의 봉합 약화
봉합이 느슨해지면 카테터 일부가 빠지거나 이동합니다.
- 이전글항암 치료의 든든한 동반자 케모포트의 올바른 관리법 (4) 25.07.07
- 다음글항암 치료의 든든한 동반자 케모포트의 올바른 관리법 (2) 25.07.07